전체 글72 부모 자녀 소통을 위한 질문 방법 1. 부모와 자녀의 소통을 위한 질문 잘하는 방법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에서 가장 어려운게 무엇일까요? 바로 ‘질문’입니다. 소통을 위해서는 대화를 해야 하는데 그 대화의 시작을 잘 하는 질문이 무척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모와 자녀의 소통을 위한 질문 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솔직히 고백하자면 저도 질문 하는 것을 정말 어려워하고 때로는 스트레스까지 받습니다. 부모와 자녀의 공감과 소통의 첫 단추는 바로 ‘마음을 열게 하는 것’입니다. 마음이 열려야 진로든 입시든 학습이든 그 다음 대화가 이어집니다. 그래서 다정하면서도 무례하지 않은 공감대가 형성되는 질문을 하는 게 관건입니다. 그렇다고 또 너무 조심하다가 피상적인 대화만 주고 받으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없기에 질문과 대화는 쉬운 일.. 2022. 3. 22. 계획된 우연으로 성공하는 방법 1. '계획된 우연(Planned Happenstance)' 이론 계획된 우연 이론은 스탠포드대학의 교수였던 존 크롬볼츠(John D. Krumboltz)에 의하여 정립된 사회학습이론이다. 한 사람이 삶에서 만나는 다양한 우연적인 사건들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와서 그 사람의 진로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진로 선택에는 자신의 지능, 성격, 적성, 환경, 능력, 흥미가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이들 요소보다는 우연한 사건으로 인해 자신의 진로를 발견하고 걸어가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이 게 크롬볼츠 박사의 주장이다. 자신의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이 대부분 하는 말이 있다. "어떻게 하다 보니 여기까지 왔습니다." 이들은 겸손해 보이려고 이런 말을 하는 것일까? 어떻게 성공하는 사람들은 이런 생각을 하.. 2022. 3. 21. 인정과 칭찬 잘하는 방법 육아서 정리 1.자존감 높이는 인정과 칭찬 자녀의 자존감이 높아지면 자아상과 신체상이 높아짐은 물론이고 상대와의 공감능력 또한 커져서 대인 관계가 좋아진다. 개인적인 성취능력과 실행력이 높아지면 타인을 이끄는 리더십도 높아진다. 그래서 자존감이 발달하는 것은 자녀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선물이 된다. 자존감의 다섯 가지 지표는 자아상, 신체상, 공감능력, 성취도, 리더십이다. 이러한 자존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 부모는 일상에서 어떻게 해야할까? 바로 적절한 인정과 칭찬의 말을 해주는 것이다. 칭찬과 격려를 많이 받고 자란 아이는 자신감이 넘치고 자존감이 높다. 심리적 정서적 결핍이 없으므로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자연스럽고 당당하다. 그런데 인정과 칭찬을 효과적으로 올바르게 하는 게 무척 어렵다. 다음은 건강하고 효과적으로.. 2022. 3. 20. 코칭 잘 하는 기본 원리 1. 코칭 잘 하는 기본은 코칭 철학 정립부터 시작된다. 코칭은 상대가 스스로 생각하고 자율적으로 최선의 방안을 찾도록 하는 것이다. 코칭 철학의 정의는 전문가마다 다양하다. 그 중 일본의 유명한 코칭 학자 에노모토 히데다케는 코칭 철학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누구나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문제의 해답은 그 사람 내부에 있다. 가능성과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파트너가 필요하다. 이 세가지 기본 철학이 성공적인 코칭의 핵심이다. 지금부터 성공적인 코칭의 기본을 알아보겠다. 2. 누구나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요츰 사람들은 외모, 재산, 집안, 학벌 등 보이는 것으로 사람을 평가한다. 그 사람의 내면은 가볍게 여긴다. 그 사람이 갖고 있는 비전과 꿈 열정과 상관없이 외면만으로 판단한다. 눈으로 볼 수 없는 .. 2022. 3. 19. 수학 책 추천 수학 교과 연계 도서 수학은 어렵고 지루한 학문이라고 싫어하는 학생이 많다. 수학을 재미있게 공부하고 수학과 친해질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바로 수학 도서를 읽는 것이다. 수학에 대한 편견을 날리고 수학과 친해지도록 돕는 책이 있다. 지금부터 수학 교과 연계 추천 도서를 소개한다. 다음 추천하는 수학 책은 학교생활기록부 과목별 세특(세부능력특이사항)에 기록할때도 활용하면 좋다. 1. 수학이 필요한 순간 한국인 최초의 옥스퍼드 대학교 정교수이자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교수의 책이다. 인간의 사고를 넓혀온 ‘수학’이라는 주제 7개에 대한 강의를 담았다. 1강 [수학은 무엇인가], 2강 [역사를 바꾼 3가지 수학적 발견], 3강 [확률론의 선과 악], 4강 [답이 없어도 좋다], 5강 [답이 있을 때, 찾을 수 있는가], 6강 [.. 2022. 3. 18. 이전 1 ··· 5 6 7 8 9 10 11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