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인정과 칭찬 잘하는 방법 육아서 정리

by 정부자 2022. 3. 20.

1.자존감 높이는 인정과 칭찬

자녀의 자존감이 높아지면 자아상과 신체상이 높아짐은 물론이고 상대와의 공감능력 또한 커져서 대인 관계가 좋아진다. 개인적인 성취능력과 실행력이 높아지면 타인을 이끄는 리더십도 높아진다. 그래서 자존감이 발달하는 것은 자녀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선물이 된다. 자존감의 다섯 가지 지표는 자아상, 신체상, 공감능력, 성취도, 리더십이다. 이러한 자존감을 발달시키기 위해서 부모는 일상에서 어떻게 해야할까? 바로 적절한 인정과 칭찬의 말을 해주는 것이다. 칭찬과 격려를 많이 받고 자란 아이는 자신감이 넘치고 자존감이 높다. 심리적 정서적 결핍이 없으므로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자연스럽고 당당하다. 그런데 인정과 칭찬을 효과적으로 올바르게 하는 게 무척 어렵다. 다음은 건강하고 효과적으로 인정하고 칭찬하는 방법이다.

2.인정과 칭찬의 방법

칭찬 할때는 어떤 행동이나 결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 속의 사소한 습관이나 행동을 놓치지 않고 그때그때 간결하게 칭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우수한 결과만이 아니라 과정의 기쁨과 중요함을 깨닫도록 칭찬하는 것이 좋다. 부모가 결과에만 신경쓰고 겉으로 보여지는 것에만 치중하면 자녀도 결과에만 치중한다.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람이 된다. 이렇게 성장한 아이는 도덕적인 위험(Moral Hazard)을 안고 살아가는 어른이 된다. 즉 내면이 불안한 사람이 된다. 100점짜리 점수보다는 집중하여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칭찬해야 한다. 책상을 잘 정리하는 모습을 인정하고 격려해야 한다. 과장된 칭찬과 형식적인 칭찬은 해롭다. 적절하고 균형잡힌 칭찬을 진정성 넘치게 하는게 좋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아이의 감정을 옳고 그른 것으로 나누고 판단한 후 다그치지 말아야 한다. 먼저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아이가 말한 상황을 열거해보자. 부모가 아이 편에서 말을 들어준다는 느낌이 드는게 효과적이다. 만약 문제 상황이 발생하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아이와 역지사지 역할극을 통해 상대방의 입장과 감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게 성장에 도움이 된다.

3.인정과 칭찬은 일관성 있게 꾸준하게 하자.

일관성 없는 칭찬으로 아이를 혼란에 빠뜨리는 부모도 있다. 그때 그때 자신의 기분에 따라 아이를 칭찬하고 벌하면 아이는 반발심을 갖게 된다. 심하면 반발심을 넘어 부모를 괴롭히고 싶은 복수심도 생긴다. 입에서 나오는 대로 내뱉는 것에 불과한 상벌은 교육적으로도 좋지 않다. 상벌의 기준을 정하는 것은 좋지만 그 틀에 억지로 끼워 맞추는 것도 무리가 있다. 특히 친구나 형제 자매와 비교해서 칭찬하고 벌을 주는 것은 경쟁심만 조장한다.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좋지 않다. 오로지 성적에만 부모의 관심이 집중되고 생활 습관이나 태도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 중심을 세워야 한다. 우선 순위를 잘 세우고 일관성 있는 인정과 칭찬을 할때 자존감이 향상 된다. 올바른 인정과 칭찬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방법으로 해보자.

  1. 적시에 진심을 담아서 말한다.
  2. 구체적인 행동과 결과를 콕 짚어서 인정하고 칭찬한다.
  3.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을 칭찬해 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