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모와 자녀의 소통을 위한 질문 잘하는 방법
부모와 자녀의 의사소통에서 가장 어려운게 무엇일까요? 바로 ‘질문’입니다. 소통을 위해서는 대화를 해야 하는데 그 대화의 시작을 잘 하는 질문이 무척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모와 자녀의 소통을 위한 질문 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솔직히 고백하자면 저도 질문 하는 것을 정말 어려워하고 때로는 스트레스까지 받습니다. 부모와 자녀의 공감과 소통의 첫 단추는 바로 ‘마음을 열게 하는 것’입니다. 마음이 열려야 진로든 입시든 학습이든 그 다음 대화가 이어집니다. 그래서 다정하면서도 무례하지 않은 공감대가 형성되는 질문을 하는 게 관건입니다. 그렇다고 또 너무 조심하다가 피상적인 대화만 주고 받으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없기에 질문과 대화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요즘은 그래도 질문이 중요하다는 것을 하도 많이 들어서 다들 질문의 가치에 대해서는 잘 아십니다. 하지만 여전히 부모들은 이런 질문만 많이 합니다.
“시험 잘 봤니? 숙제는 다했어? 책가방과 준비물은 챙겼어?”
이런 폐쇄형 질문을 자녀에게 주로 합니다.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에게 이런 질문만 하면 아이들은 엄마가 자신보다 공부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고 느낍니다. 그러니 돌아오는 대답은 “네”라는 말 밖에 없습니다. 온전히 아이의 생각과 말에 귀 기울여주고 맞장구쳐주는 대화는 아이가 커갈수록 어렵다고 합니다. 아이의 요즘 관심사가 무엇인지 귀를 활짝 열고 들어주다 보면 아이의 생각과 미래의 꿈까지도 엿볼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격적 특성과 재능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해집니다. 내 아이에 대한 이해야말로 아이 스스로 인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비밀 열쇠가 됩니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가 좋아지는 것은 당연히 덤으로 따라 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질문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이 짧은 지면에서는 방대한 질문 스킬을 다룰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하고도 근본적인 자세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질문이 효력을 발휘하느냐 않느냐는 바로 ‘질문자의 태도’에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좋은 질문은 인격적이고 따뜻합니다. 따뜻하고 사랑이 가득한 그 눈빛으로부터 시작됩니다. 그리고 좋은 질문은 강요하지 않습니다. 주입은 질문이 아닙니다.
2. 심판자의 질문과 학습자의 질문
마릴리 애덤스는 <삶을 변화시키는 질문의 기술>에서 질문자는 누구나 심판자이거나 학습자로서의 질문을 자신과 타인에게 하고 살아가며 우리에겐 그 질문들 중 하나를 선택할 힘이 있다고 합니다. 부모들은 자녀와 대화할 때 의도치 않게 심판자가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부모가 이미 모든 것을 다 알고 있다는 식으로 심판자의 질문을 할 때 아이들은 이미 그 말대로 생각과 마음이 고립됩니다. 그럴 때 학습자의 질문을 배워서 아이에게 질문해 보면 어떨까요?
심판자의 질문
뭐가 잘못됐지? 왜 그랬지? 대체 언제 잘 거니? 넌 왜 엄마 말을 듣지 않니? 왜 아빠한테 그러는 거니? 언제 공부할래? 그렇게 해서 되겠니?
학습자의 질문
제대로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네가 그렇게 한 까닭이 무엇인지 말해 줄 수 있겠니? 언제쯤 자야 내일 아침을 활기차게 맞을 수 있을까? 엄마의 말에 대해서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아빠 입장에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겠니? 지금 네가 하는 일이 언제쯤 끝날지 알려주겠니? 그것보다 더 나은 방법을 함께 찾아보지 않을래?
3.부모와 자녀의 아름다운 관계를 위하여
질문하는 게 쉽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실행하기는 더더욱 어려운 일입니다. 그렇지만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노력해야 합니다. 저도 남편에게 학습자의 질문을 해야지 하면서도 심판자의 질문만 아니 솔직히 바가지만 긁는 것만 같아 속상할 때가 정말 많습니다. 심판자의 자세에서 학습자의 자세로 변화하기 위한 연습은 아마도 죽을 때까지 살아가는 동안 끊임없이 계속해야 할 연습인 것 같습니다. 학습자와 심판자는 사고방식에서 큰 차이를 만듭니다. 학습자의 질문을 부모에게서 듣고 자란 아이들은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자기주도적인 사람으로 자라게 됩니다. 부모가 먼저 심판자의 사고방식을 버리고 학습자의 눈으로 자신과 상황과 사람들을 대하면 아이도 더불어서 두렵고 부정적인 마음은 날려 보내고 부모와 함께 희망적인 미래를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성교육의 필요와 방법 '단언컨대, 아이의 미래 인성교육에 있습니다' (0) | 2022.03.25 |
---|---|
디자인씽킹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능력 (0) | 2022.03.23 |
계획된 우연으로 성공하는 방법 (0) | 2022.03.21 |
인정과 칭찬 잘하는 방법 육아서 정리 (0) | 2022.03.20 |
코칭 잘 하는 기본 원리 (0) | 2022.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