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72 인성교육의 올바른 방향 '이타적 자존감 수업' 1. '이타적 자존감 수업' 책을 읽게 된 계기 : 인성 교육의 필요성 인터넷과 뉴스를 보면 청소년들의 흉악 범죄가 점점 늘고 있다. 어떻게 '인간이 저럴 수 있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인간성을 상실하는 사건을 많이 접하니 두렵다. 이제는 인터넷과 플랫폼 SNS의 발달로 유명한 사람들이 부도덕한 행동을 하면 그 추악한 모습이 언론에 그대로 노출된다. 그래서 날이 갈수록 인성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 인성을 단순히 예절교육으로만 생각하기엔 뭔가 애매하다. 앞으로는 '인성'이 중요하기에 이 인성 교육을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궁금해서 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의 저자 이상준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협의회 내 인성교육연구회의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약 10여 년간 인성교육 방법에 대해 연구.. 2022. 3. 12. '마인드셋' 성취하고 성공하는 행복한 인생을 사는 방법 1. 마인드셋(mind set) 의미 나이가 들수록 성취와 성공 행복에 관심이 더 많아진다. 단순히 공부 잘해서 좋은 대학 갔다고 인생이 잘 풀리는 것도 아닌 것을 많이 보게 되어서 그런가보다. 점점 인생에서 무엇을 이뤄가는 친구들을 보면 이 마인드셋이 무척 중요하단 걸 실감한다. 이라는 책은 미국 스탠퍼드 대학 심리학과 교수인 캐럴 드웩의 유명한 저서이다. 캐럴 드웩은 사람들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데는 그들이 지닌 능력 만큼 자신의 능력에 대한 그들의 생각이 중요하다고 한다. 즉 어떠한 '마인드 셋'을 가졌는지가 더 중요하다. 그러니 능력에 대한 믿음이 타고난 능력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녀의 책을 읽다보면 살면서 어떤 관점과 태도를 추구하며 살아야 할지 명확해진다. 2. 인간 성장의 비밀 고.. 2022. 3. 12. 억압된 사회에서의 인연과 용서 '주홍글씨' 교훈 1. 주홍글씨 의미 1850년에 출판된 주홍글씨는 너대니얼 호손의 작품이다. 원래 주홍글씨를 단편으로 계획했던 너대니얼 호손은 출판사의 권유로 장편 소설로 펴냈다. 사실 호손은 이 소설이 성공할 수 있을지 확신이 없었다고 한다. 그런데 그런 염려와 다르게 이 소설은 엄청난 베스트셀러가 된다. 주홍글씨는 청교도라는 당시의 견고한 인습적 도덕사회에 대하여 새로운 윤리관의 문제를 제기한다. 작가인 호손의 경험이 담겨 있기도 한데 호손의 조상은 검소하고 엄격한 생활 방식을 고수하는 청교도로 그의 가정 또한 청교도 신자 집안이다. 주홍글씨는 미국 상징주의 기법 소설의 효시로 최초의 상징소설로 알려져 있다. 상징적 요소들의 의미를 파악하면서 읽으면 좋다. 주홍글씨는 미국적인 관점에서 죄의식과 윤리를 다뤄 미국 문학.. 2022. 3. 9. 순수한 존재의 행복한 사랑 이야기 '키다리 아저씨' 1. 키다리 아저씨 애니메이션 소녀 감성 가득 채워주는 소설 키다리 아저씨. 초등학교 2학년 때 '지경사'라는 출판사에서 나온 키다리 아저씨 소설을 꼬박 일주일이나 걸려 다 읽었던 기억이 난다. 제법 두꺼운 소설이었는데 어린이용 책이 아니라 나름 두꺼운 책을 혼자서 집중하며 읽은 것은 이 때가 처음이었던거 같다. 이전에도 명작동화 를 즐겁게 봤는데 이 키다리 아저씨는 왜 그렇게 설레었는지 모르겠다. 이후 일요일 아침마다 MBC에서 키다리 아저씨 일본 애니메이션을 방영했는데 그것도 정말 재미있게 다 봤었다. 책보다 이 카다리아저씨 애니가 더 기억에 남아 유튜브에 혹시나 있나 찾아봤더니 있더라. 이걸 시작으로 '후레쉬 맨' '마스크 맨'도 있나 찾아 봤더니 있어서 놀랬다. 설마 하면서 '배추도사 무도사' '.. 2022. 3. 7. 인간의 품격과 존엄성을 비춰주는 소설 '위대한 유산' 1. 위대한 유산의 작가 찰스 디킨스 나는 '유산' 하면 바로 금수저와 흙수저라는 단어들부터 떠오른다. 현재의 위치보다 더 나은 위치로 신분이 상승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교육을 통해 신분 상승을 이룰 수도 있고, 스스로 돈을 많이 벌어 부를 이루는 방법도 있고, 결혼을 통한 신분 상승의 방법도 있다. 가장 편한 것은 바로 부자 부모님을 둔 '상속자'가 되는 것이겠다. 이처럼 '유산'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재산과 재물같은 물질적인 것을 떠올린다. 그렇게 보면 이 세상엔 아무런 유산도 물려받지 못한 사람이 수두룩하다. 나 또한 아무 유산도 물려 받지 못하는 흙수저니 말이다. 그렇다면 찰스 디킨스는 그의 소설 에서 무엇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이런 물질적인 유산을 말하고 싶었던 것일까.. 2022. 3. 5.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