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탐색에서 중요한 것은 적성과 흥미이지만 현실적으로는 미래 사회가 어떻게 돌아갈지 알고 사회의 변화에 맞는 '유망한 직업'을 찾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래서 미래 유망학과 중 하나인 계약학과 그중에서 '첨단 분야 학과'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국 대학에는 우리나라의 미래먹거리 산업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학과신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유망한 학과인 첨단 분야 학과의 수시 전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까요?
첨단 분야 유망한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는 계약 형태에 따라 교육부 주관의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외부 기관 주관의 ‘기업체 취업형 계약학과’로 나뉜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3년 6학기제로 운영되며, 2학년 때부터 정식으로 채용계약을 맺어 일과 학업을 병행해 학점을 인정받는다. 기업체 취업형 채용계약학과는 외부 기관이 대학과 연계해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학과 졸업 후 해당 기업체에서 일정 기간 근무해야 한다.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정식 채용된다. 실무에 관련된 지식을 바로 습득하기에 안정적인 직장을 원하는 학생에게는 최고의 기회다.
매년 증가하는 채용조건형 계약학과
대기업과 연계돼 채용을 보장하는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는 '기업체 취업형 계약학과'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LG디스플레이 등의 기업들이 대학과 협약을 맺고 학생을 선발한다. 학생은 취업을 보장받고, 기업은 훈련된 인재를 선점할 수 있어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의 선발 규모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 2022년도에는 KAIST, POSTECH에 이어 올해 DGIST, GIST, UNIST가 삼성전자와 협약을 맺고 반도체공학과를 신설했다. 주로 반도체공학과와 디스플레이융합공학과, 바이오 관련 학과로 모두 미래 유망한 직업이 이공계이기에 의대 다음으로 인기 많은 학과들이다.
자신에게 유리한 전형을 확인하여 전략적으로 채용계약학과 입시 준비 하기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계약학과중 첨단 분야 학과 대부분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모집한다.
계약학과중 반도체로 가장 인기 많고 경쟁이 치열한 대학이 서울대와 성균관대인데
성균관대는 융합과학계열 반도체융합공학과, 에너지학과 등 2개 신설학과의 수시 선발인원 72명 중 48명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하며, 서울대 첨단융합학부는 수시 선발인원 128명 전원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뽑는다.
따라서 서울 주요 대학 계약학과 최첨단 분야 학과 진학을 목표로 한다면 대학별로 자신에게 유리한 전형이 무엇인지 살펴봐야 한다.
만약 학생부에 자신이 없다면 면접전형이 있는 대학에 지원해 미리 준비하여 학생부에서 드러나지 않는 자신만의 강점과 매력 개성을 면접에서 보여주는게 좋다.
중고등 학생이라면 다음과 같은 미래 유망한 채용계약학과 그리고 반도체 학과등 최첨단학과를 미리 살펴보고 준비를 하면 최고의 진로탐색과 자기주도학습의 동기부여가 될 것이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모의고사 일정 범위 시험 전략 (0) | 2024.03.08 |
---|---|
아인슈타인 뇌 크기 및 사용량 두뇌 발달 놀이 (0) | 2024.02.19 |
2024년 국가장학금 신청 중위소득 기준 (0) | 2024.02.06 |
2025년 수능 일정 및 2024년 모의고사 일정 (0) | 2024.02.06 |
수험생식단 고3 영양식 수능도시락 추천 (0) | 2023.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