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9

아데노바이러스 눈병과 결막염 차이 가을철에 어린 영유아에서 유행하는 대표적인 원인균은 아데노바이러스입니다. 아데노바이러스는 아주 병독성이 강한 바이러스로서 보통 39도에 이르는 고열을 동반하는 목감기로 나타납니다. 독감 수준으로 심하게 앓고 폐렴, 중이염 등의 합병증도 다른 바이러스 감염증에 비해 비교적 흔한 편으로 환절기 가을 초겨울에 독감과 구분이 어렵기도 합니다. 영유아를 키우는 엄마들은 아데노인지 아닌지 '눈병'을 통해 구분하기도 합니다. 아데노바이러스 눈꼽과 결막염 눈꼽 차이 결막염과 아데노바이러스 눈병은 둘 다 눈의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하지만 두 질환은 원인과 증상, 치료법이 다릅니다. 결막염은 눈의 표면을 덮고 있는 결막이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결막염의 원인은 바이러스, 세균, 알레르기, 화학물질 등 다양합니.. 2023. 10. 24.
코로나 검사비용과 코로나 격리기간 요즘 다시 코로나가 유행하는듯 한데요. 8월에 코로나로 고생을 한 지인들이 정말 많습니다. 코로나19는 2023년 8월 31일부터 감염병 등급이 2급에서 4급으로 낮아졌습니다. 4급은 ‘독감(인플루엔자)’이 포함된 등급으로, 이제 독감 수준의 관리를 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검사와 치료에 대한 국비 지원과 건강보험 급여 지원이 대폭 축소되었답니다. 코로나19 검사 비용은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습니다. - 동네 의원에서 유증상자라면 누구나 검사비 무료 (본인 부담 0%)에 진찰료 5천∼6천원만 내고 신속항원검사 (RAT)를 받을 수 있었으나, 4급 전환시 먹는 치료제 대상군 (60세 이상, 12세 이상 기저질환자·면역저하자)만 비용의 50%를 건강보험으로 지원합니다. 먹는 치료제 대상군 검사비.. 2023. 8. 31.
월세 세액공제 소득공제 MZ세대 재테크 1. MZ세대 세액공제와 소득공제중 어떤 게 더 유리할까? 사회초년생은 거의 소득이 적다. 사회초년생에게는 납부할 세액에서 일부를 공제해주는 방식의 세액공제가 소득공제보다 유리한 경우가 많다. 세액공제는 대상 금액에 일정 비율을 곱해 나온 숫자만큼의 세금을 공제해 상대적으로 낮은 세율을 적용받는 소득자에게 유리하기 때문이다. 반면 소득공제는 세금을 낼 때 적용하는 근로소득을 일부 차감하는 방식이어서 높은 세율을 적용받을수록 혜택이 생긴다. 2. 월세 세액공제 받을 수 있는 조건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가구의 세대주이어야 한다. 총 급여액 7000만원 이하 근로자 또는 종합소득 금액은 6000만원 이하 여야 한다. 국민주택 규모 이하 주택이거나 기준시가 3억원 이하 주택(오피스텔 고시원 포함)에 거주하는 경.. 2022. 4. 5.
조정지역 양도세 비과세 조건 알아보고 절세하기 1.1세대 1주택자 비과세 혜택 1주택만을 보유한 1세대가 그 주택을 팔아도 일정금액인 9억까지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비과세 혜택이 주어진다. 9억원이 넘는 부분에 대해서는 최대 80%까지 시세차익을 줄여주는 공제를 적용 받을 수 있다. 이를 1세대 1주택자 비과세 혜택이라고 한다. 일시적 2주택 비과세 요건은 다음과 같다. 거주자가 비과세를 받으려는 종전 주택을 구입한 날로부터 만으로 1년 이상이 지난 후 신규 주택을 구입하고, 신규 주택을 구입한 날로부터 3년 안에 비과세 요건을 갖춘 종전 주택을 매각하면 된다. 그런데 이 양도세 비과세 조건은 지역에 따라 다르니 잘 살펴야 한다. 그중 유의할 게 바로 조정대상지역에서의 양도세 비과세 조건이다. 2.조정지역 양도소득세 비과세 조건 서울과 세종, 경기.. 2022. 4. 4.